본문 바로가기
aws

AWS RDS(MariaDB) 구축 (feat. 타임존, 인코딩 설정)

by 초이사 2023. 4. 16.

AWS RDS 인스턴스 생성 및 파라미터 설정에 대해 정리한 글이다.

 

AWS RDS

  • AWS에서 지원하는 클라우드 기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로 하드웨어 프로비저닝, 데이터베이스 설정, 패치 및 백업과 같은 잦은 운영 작업의 자동화등을 지원한다.
  • 용량을 조정할 수 있어 예상보다 많은 데이터가 쌓이더라도 추가 비용만 내면 정상적으로 서비스할 수 있다.

 

RDS 인스턴스 생성

1. AWS -> RDS -> 데이터베이스 생성

2. 데이터베이스 생성 방식 - 표준 생성, 엔진 옵션 - MariaDB 선택

엔진 옵션은 원하는 대로 선택하면 되는데, 무료 DB 중 MariaDB를 선택했다.

Maria DB 선택

3. 템플릿 프리티어 선택

 

템플릿 프리티어 선택

엔진 버전은 기본으로 설정되어 있던 버전 그대로 했다.

 

4. 설정 - DB인스턴스 식별자, 마스터 사용자 이름, 마스터 암호를 직접 작성한다.

설정

5. 인스턴스 구성 - db.tr.micro 선택, 스토리지 설정

인스턴스 구성

기본 설정 그대로 db.t3.micro를 선택했다. 

2022년 3월 25일 이전에는 프리티어에서는 db.t2.micro만 가능했는데, 2022년 3월 25일 이후로 프리티어에서 db.t2.micro, db.t3.micro 또는 db.t4g.micro 인스턴스를 사용할 수 있다고 한다. 

AWS 공지 (https://aws.amazon.com/ko/about-aws/whats-new/2022/03/amazon-rds-free-tier-dbt3micro-graviton2-based-instances/)

인스턴스 구성

스토리지 설정

할당된 스토리지는 RDS의 스토리지 무료 제공량 20으로 하고 스토리지 자동 조정 활성화는 꺼둔다.

스토리지 자동 조정 활성화를 켜두면 용량이 20을 넘어가면 자동으로 스토리지를 늘려주기 때문에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

스토리지 설정

6. 연결 - 퍼블릭 액세스 예로 변경

외부에서도 접근할 수 있도록 퍼블릭 액세스를 예로 설정해줘야 한다.

연결 - 추가 구성

7. 추가구성 -> 데이터베이스 옵션 - 데이터베이스 이름 -> 데이터베이스 생성

데이터베이스 옵션

생성을 누르고 EC2 보다 생성시간이 좀 더 걸린다.

RDS 데이터베이스 생성 완료

 

 

 

RDS 파라미터 설정

RDS 처음 생성시 필수로 해야하는 설정(타임존, 인코딩 설정등)이 있다.

파라미터그룹을 만들어 타임존과 인코딩 설정을 해준다.

1. 왼쪽 카테고리에서 파라미터 그룹 -> 파라미터 그룹 생성 -> 파라미터세부정보 작성 -> 생성

파라미터 그룹 패밀리는 데이터베이스 생성시 선택한 버전과 같은 버전으로 한다.

파라미터그룹 생성
파라미터 그룹 생성완료

2. 타임존과 인코딩 설정

타임존

2-1. 파라미터 그룹 이름 클릭 -> 파라미터 편집 -> time_zone 검색 -> Asia/Seoul 선택 -> 변경사항 저장

 

인코딩

2-2. character_set 검색 -> 나온 항목 모두 utf8mb4로 변경 -> 변경사항 저장

collation 검색 -> 나온 항목 모두 utf8mb4_general_ci로 변경 -> 변경사항 저장

utf8과 utf8mb4의 차이는 이모지 저장 가능 여부이다. (utf8 : 가능, utf8mb4 : 불가능)

위와 같이 값을 utf8mb4로 설정해준다.

 

위와 같이 값을 utf8mb4_general_ci로 변경해준다.

 

3. 만든 파라미터 그룹 데이터베이스에 연결

데이터베이스 -> 해당 데이터베이스 클릭 -> 수정 -> DB 파라미터그룹에 방금만든 파라미터 그룹 선택 -> 계속 -> 즉시적용 -> DB 인스턴스 수정

DB 인스턴스 수정

파라미터 그룹이 제대로 반영되지 않는 경우도 종종 있으니 재부팅도 해준다.

댓글